2025년 제약·바이오 하반기 전망: 진보는 계속된다
혼란 속에서도 기회는 숨어 있습니다. 하반기, 제약·바이오 시장을 움직일 열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제약과 바이오 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요즘처럼 변화가 빠른 시기에 더더욱 시장의 흐름을 놓치고 싶지 않으실 겁니다.
2025년 하반기, 특히 항암제 시장과 글로벌 빅파마의 전략 변화는 투자자뿐 아니라 업계 종사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항암학회와 비만치료제 관련 신약 개발, 그리고 매크로 경제 환경의 변화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앞으로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2024년 글로벌 제약사의 실적 정리
2024년 글로벌 제약사들의 평균 성장률은 3.3%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몇몇 기업만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분야에서 돋보이는 성장을 보인 기업들은 20% 이상의 매출 증가를 달성했으며, 항암제, 희귀질환, 대사질환 등 특정 질환군에서 확실한 포지션을 확보한 기업들이 평균 10%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치료영역별 투자 전략
영역 | 주요 전략 | 대표 기업 |
---|---|---|
항암 | ADC, 면역항암제 기반 확장 | BMS, MSD |
대사질환 | GLP-1, 경구용 치료제 개발 | 노보노디스크, 릴리 |
면역질환 | FcRn 차단제, 지속형 제형 | J&J, 아스트라제네카 |
신약 모멘텀을 좌우할 핵심 후보물질
2025년 하반기 신약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후보물질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올포글리프론’의 임상 결과
- HER3 타겟 ADC의 데이터 발표 및 승인 기대감
-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희귀질환 신약 파이프라인
매크로 환경 변화와 산업의 불확실성
2024년 하반기 금리인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와 관세 불확실성으로 미국은 추가 인하를 단행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고금리가 지속되며 제약·바이오 업계의 투자심리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약가 정책 변화 가능성이 높아지며, 빅파마들이 신약개발 전략을 수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영향 요인 | 세부 내용 |
---|---|
금리 정책 | 추가 인하 보류, 고금리 장기화 |
FDA 정책 | AI 도입 및 인력 구조조정, 허가 지연 |
약가 규제 | 관세 부과 가능성 및 미국 내 생산 요구 |
2025년 하반기 항암학회 일정과 분석
2025년 하반기에는 10개 이상의 주요 항암학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들 행사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기업의 임상 및 비임상 결과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특히 HER3 ADC, CAR-T, 면역항암제 기반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주요 데이터를 통해 기술이전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ESMO Asia 2025: 아시아 최대 항암학회
- AACR-NCI-EORTC: 바이오마커 기반 신약 발표 다수
- 국내 항암학회: 국산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전략화 계기
국내 바이오기업의 기회와 리스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 역시 하반기 항암학회 및 글로벌 트렌드에 맞춘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지아이이노베이션, 리가켐바이오, 보로노이, 에이비엘바이오 등은 주요 기술이전 후보로 꼽히며, CDMO 수요 증가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펩트론 등의 재평가도 기대됩니다.
- 리가켐바이오: HER3 ADC 관련 기술계약 기대
- 펩트론: 지속형 제형 기반 CDMO 확장
- 디앤디파마텍: 파이프라인 다변화로 재평가 기대
주요 학회는 9월~12월 사이 집중되어 있으며, ESMO Asia와 AACR-NCI-EORTC가 대표적인 글로벌 이벤트입니다.
신약 개발 외에도 제형 변경, 병용 요법 확대 등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신약 허가 심사 지연이 발생하면서 전체 신약 출시 타임라인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GLP-1 계열 치료제는 폭발적인 수요 증가를 보이며, 향후 경구용 치료제의 등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술계약이나 CDMO 수요 증가에 따라 리가켐바이오, 펩트론 등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책 불확실성과 고금리 환경이 투자 위축을 유발하며, 이는 M&A나 IPO 추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혼돈 속에서도 통찰은 기회를 만듭니다.
2025년 하반기 제약·바이오 산업은 변동성 속에서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신약 트렌드, 정책 변화, 그리고 항암학회를 중심으로 한 기술 발표는 투자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중요한 길라잡이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 글을 통해 흐름을 읽고 전략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아래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도 자유롭게 나눠주세요!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근로장려금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5.23 |
---|---|
트럼프 감세법안 하원 통과, 주식 시장에 미칠 영향 분석 (6) | 2025.05.22 |
테슬라 로보택시 6월 출시 예고, 자율주행 수익 시대 본격 개막 (3) | 2025.05.22 |
코로나 재확산에 진단키트·백신 관련주 급등! 수혜 종목 총정리 (1) | 2025.05.22 |
삼천당제약 2025년 대도약! 바이오시밀러부터 경구 인슐린까지 5대 성장 모멘텀 정리 (2) | 2025.05.21 |